google-site-verification=s9T4FUuBHmo3_Dg8c9qOIUHSN051xwkxICNFO4CJK1w 호두나무, 실크로드를 통해 들어오다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호두나무, 실크로드를 통해 들어오다

by 수비아코 2022. 11. 9.
반응형

우리가 흔히 말하는 실크로드는 타림강 유역의 오아시스 부근을 통해 중국 비단이 서방으로 수출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실크 로드를 통해서 들어온 교역품이 많은데  호두나무도 실크로드를 통해서 우리나라로 들어왔다. 호두나무의 특성과 효용에 대해서 알아본다.

호두나무
호두나무

호두나무, 실크로드를 통해 들어오다

<목차>
-실크로드를 통해서 들어온 호두나무
-호두나무 특성
-호두나무 효용

 

실크로드를 통해서 들어온 호두나무

실크로드를 통해서 동양과 서양의 무역이 활발해지자 실크 로드를 타고 중국으로 들어온 물품이 한층 다양해졌다. 한서의 서역전에는 동서 간의 물자교류 내용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때 들여온 포도와 거여목 등을 별궁에서 재배하기도 했다고 적고 있다. 중국의 식물 이름 가운데 '호'자가 들어 있는 식물들이 있다. 참깨를 의미하는 호마, 오이를 의미하는 호조, 땅콩을 의미하는 호두 등이 있다. 이러한 '호'자가 붙은 식물들은 이 시기에 중국으로 들어온 것들이다. 

 

우리가 보통 호두라고 부르는 것은 땅콩을 의미하는 호두가 아니라 호도이다. 식물학계에서는 호두를 호도 혹은 추자나무라고도 한다. 그런데 왜 호두의 한자가 호도인데도 굳이 호두라고 부르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중국이 원산인 호두나무는 우리나라 천안이 명물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구석기시대에서 신석기시대로 넘어가는 시기의 유적에서도 화석이 발견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이 호두나무다. 우리나라 천안이 호두 명물 지역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은 고려 중엽 천안 출신의 유청신이 원나라 사신으로 갔다 오면서 들여왔다는 얘기가 있다. 물론 이러한 얘기를 증명할 수는 없지만 원나라 시대에 호두가 우리나라에 들어왔다는 것은 '호'라는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다.

 

호두나무 특성

중구이 원산인 호두나무의 특성은 열매에 있다. 경기도 이남에서 주로 심는 호두나무의 열매인 호두는 9월에 녹갈색으로 익는다. 호두나무의 열매는 호두를 한자로 호도라고 쓰는데서 알 수 있듯이 복숭아를 연상시킨다. 즉 호두 열매의 가장 바깥 껍질을 벗기면 그 안에 딱딱한 껍질이 더 나오는데 이것이 복숭아의 씨를 닮았다. 농가에서는 호두나무를 두두리면 열매가 많이 열린다는 속설이 있다. 

이란과 유럽 동남부에서도 자생하는 호두나무가 천안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소득원이다. 하지만 그리스 사람들에게는 아주 신성한 나무였다. 그들은 호두를 '다이애나'에게 바치며 다산을 빌기도 했다. 또한 호두나무가 잡귀를 막아준다고 믿고 있었다. 그리스인들이 호두나무를 두고 다산을 빌었던 것은 아무래도 호두나무 열매가 한 나무에서 아주 많이 열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호두는 파란색 껍질 속에 다시 딱딱한 껍질이 있고 그 껍질을 깨야 비로소 열매를 먹을 수 있다.

 

호두나무 효용

호두나무는 열매인 호두는 여러가지 효능을 가지고 있어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복용했다. 호두 열매는 풍부한 지방유와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열매가 검게 익으면 이것을 이용해서 기름을 짜서 먹기도 한다. 또한 탄수화물과 소량의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어 영양분도 아주 높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딱딱한 호두 열매를 깨는 행사를 함으로써 나쁜 기운을 몰아낸다는 풍습이 전해진다. 지금도 정월 대보름에는 땅콩이나 호두 같은 딱딱한 견과류를 깨기도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오래된 산림관련 도서인 '산림경제'에는 독이 없고 먹으면 머리털이 검어지고 강장효과가 있다고 적고 있다. 호두 열매를 이용해서 짠 기름은 호도유라고 하는데 기름의 품질이 좋은 건성 기름으로 영하 20도가 넘어도 얼지 않는다. 또한 호두 기름은 식용으로 뿐만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유화 원료로도 사용된다. 호두나무가 생활에서 가장 친숙한 분야가 아마도 목재일 것이다. 호두나무 목재는 월넛이라고 부르며 가깝게는 도마에서부터 주방용품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불규칙한 줄무늬가 아름다워서 목재로써도 큰 효용이 있는 나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