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site-verification=s9T4FUuBHmo3_Dg8c9qOIUHSN051xwkxICNFO4CJK1w 다주택자 종부세 계산방법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다주택자 종부세 계산방법 총정리

by 수비아코 2024. 6. 2.
반응형

다주택자 종부세 계산방법

종부세 과세대상

최근 뉴스에서 정부에서 종부세 폐지를 추진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는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주택을 보유한 개인이나 법인을 대상으로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특히 다주택자는 종부세 부과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주택자 종부세 계산방법에 대해 미리 확인해보고 예를 들어 계산해보겠습니다.

 

목차

    다주택자의 정의

     

    다주택자는 일반적으로 2주택 이상을 소유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주택 수에 따라 종부세의 과세 기준과 세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주택자와 3주택 이상을 소유한 경우 세율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보유한 주택 수별로 적용되는 세율은 아래 홈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부세 과세 기준

     

    다음은 다주택자의 종부세 과세 기준입니다:

    • 공시가격 합산: 소유한 모든 주택의 공시가격을 합산합니다.
    •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2024년 기준 100%)을 곱합니다.
    • 과세표준 산정: 공정시장가액에서 주택공제액(다주택자는 6억 원)을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산정합니다.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다주택자의 경우 과세표준이 높을수록 더 높은 세율이 적용되며, 다음과 같은 세율 구조를 가집니다:

    • 3억 원 초과 ~ 6억 원 이하: 0.6%
    • 6억 원 초과 ~ 12억 원 이하: 0.8%
    • 12억 원 초과: 1.2% 등

    이를 통해 다주택자는 공시가격이 높아질수록 더 높은 세금을 부담하게 됩니다.

    다주택자 종부세 계산방법

     

    다주택자의 종부세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계산됩니다:

    1. 과세 대상 주택의 시가 표준액 합산: 다주택자가 소유한 모든 주택의 공시 가격(시가 표준액)을 합산합니다.
    2.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2024년 기준 공정시장가액비율은 100%입니다. 즉, 시가 표준액에 100%를 곱합니다.
    3. 과세표준 산정: 공정시장가액에서 주택공제액을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산정합니다. 주택공제액은 1세대 1주택자는 11억 원, 다주택자는 6억 원입니다.
    4.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 다주택자의 경우 2주택 이상 3주택 이하와 4주택 이상으로 구분하여 세율이 다릅니다.
    5. 세액 공제 및 감면: 일정 요건에 따라 고령자 공제, 장기보유 공제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종부세 산출: 최종적으로 산출된 세액에 지방세를 추가하여 종합부동산세를 확정합니다.

    다주택자 종부세 계산방법 예시

     

    다주택자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과세 대상 주택의 시가 표준액 합산: 다주택자가 소유한 모든 주택의 공시 가격(시가 표준액)을 합산합니다.
    •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2024년 기준 공정시장가액비율은 100%입니다. 즉, 시가 표준액에 100%를 곱합니다.
    • 과세표준 산정: 공정시장가액에서 주택공제액을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산정합니다. 주택공제액은 1세대 1주택자는 11억 원, 다주택자는 6억 원입니다.
    •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 다주택자의 경우 2주택 이상 3주택 이하와 4주택 이상으로 구분하여 세율이 다릅니다.
    • 세액 공제 및 감면:  일정 요건에 따라 고령자 공제, 장기보유 공제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종부세 산출: 최종적으로 산출된 세액에 지방세를 추가하여 종합부동산세를 확정합니다.

    예시를 통해서 구체적인 종부세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주택자가 서울에 주택 두 채를 소유하고 있으며, 각 주택의 시가 표준액이 각각 10억 원, 8억 원인 경우를 가정해 봅시다.

    • 시가 표준액 합산: 10억 원 + 8억 원 = 18억 원
    • 공정시장가액비율 적용: 18억 원 × 100% = 18억 원
    • 과세표준 산정: 18억 원 - 6억 원(다주택자 공제) = 12억 원
    • 세율 적용: 과세표준이 3억 원 초과 ~ 6억 원 이하일 경우: 세율 0.6% /과세표준이 6억 원 초과 ~ 12억 원 이하일 경우: 세율 0.8%. 따라서, 3억 원까지는 0.6%, 나머지 9억 원은 0.8%의 세율을 적용합니다.
    • 세액 계산: (3억 원 × 0.6%) + (9억 원 × 0.8%) = 180만 원 + 720만 원 = 900만 원
    • 세액 공제 및 감면: - 고령자 공제, 장기보유 공제 등을 적용하여 최종 세액을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고령자 공제를 20% 받는다고 하면 900만 원 × (1 - 0.2) = 720만 원
    • 지방세 추가: 종부세의 20%를 농어촌특별세로 추가 부과합니다.지방세: 720만 원 × 0.2 = 144만 원
    • 최종 종부세: 720만 원 + 144만 원 = 864만 원

    이 계산 방법은 법령 및 규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상황에 맞춰 최신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종부세 납부기한

    종부세는 일정 기간 내에 납부해야 하며, 이를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종부세 납부기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납부 기간

    종부세 납부 기한은 일반적으로 매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입니다. 이 기간 내에 종부세를 납부해야 하며, 기한을 넘길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납부 방법

    종부세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인터넷 납부: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인터넷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은행 납부: 가까운 은행에서 직접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자동이체: 사전에 자동이체를 신청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납부 방법이 있으니,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기한 내에 납부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총정리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총정리

    주택연금은 고령자들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생활비를 보충하거나 은퇴 후 안정적인 소득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주택연금 수령액

    october-rain.tistory.com

    재난적 의료비 지원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2024)

     

    재난적 의료비 지원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2024)

    재난적 의료비 지원제도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서 발생하는 과도한 의료비중에서 비급여 항목을 보전해주는 제도입니다. 올해 적용되는 재난적 의료비 지원대상과 상병코드에 따른 지원금액

    october-rain.tistory.com

    치매안심센터 치매 관리비 진단비 지원금 신청 방법

     

    치매안심센터 치매 관리비 진단비 지원금 신청 방법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인구고령화가 되면서 치매 환자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다고 합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치매 치료관리비 지

    october-rai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