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은 잘 준비하고 계신가요? 1월 15일부터 2023년 귀속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오픈되었습니다. 연말정산을 할 때 세액공제가 높은 항목들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최근에는 기부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면서 정치단체, 사회복지단체, 그리고 종교단체에 기부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연말정산에서 근로자 본인이나 부양가족이 기부한 금액에 대해서 최대 35%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부금공제 항목과 기부금 세액공제 한도를 확인하고 증빙서류를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기부금공제 항목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기부금 항목은 크게 다섯가지가 있습니다. 이 다섯가지에 해당하는 기부의 경우에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부금 세액공제는 기본공제 대상자가 기부한 기부금을 공제받게 됩니다.
정치자금 기부금
정당이나 정치인 후원회, 선거관리위원회에 기부한 기부금을 말합니다.
법정기부금
다음으로 법정기부금이 있습니다. 국가 또는 지자체에 기부한 금품, 국방헌금이나 위문금품, 특별재난구역 이재민에게 기부한 구호금품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또한 사립학교에 기부한 금품이나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한 금액도 법정기부금으로 분류되어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사주조합 기부금
세번째 기부금 항목은 우리사주조합 기부금이 있습니다. 이 기부금은 우리사주조합 조합원이 아닌 사람이 아리사주조합에 기부한 기부금을 말합니다.
지정기부금
세법에 따라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네번째 기부금은 지정기부금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는 사회복지법인이나 종교단체, 학술연구단체 등에 기부한 금품을 말합니다.
학교에서 추천한 사람에게 개인적으로 지급한 장학금이나 공익신탁 기부금도 지정기부금으로 세법에 따라서 세액공제 대상 기부금입니다.
고향사랑 기부금
고향사랑기부금에 관한 법률에 의해서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한 고향사랑기부금이 2023년 귀속분 연말정산부터 세액공제 대상이 되었습니다.
기부금 세액공제 대상금액 한도
항목 | 세액공제 대상금액 한도 |
정치자금 기부금 | 근로소득금액(총급여-근로소득공제액) |
법정기부금 | 근로소득금액(총급여-근로소득공제액) |
우리사주조합 기부금 | (근로소득금액-정치자금 기부금.법정기부금 세액공제 대상금액)*30% |
지정기부금(종교단체 제외) | (근로소득금액-정치자금 기부금.법정기부금.우리사주조합기부금 세액공제 대상금액)*30% |
종교단체 기부금 | (근로소득금액-정치자금 기부금.법정기부금.우리사주조합기부금 세액공제 대상금액)*10% |
고향사랑 기부금 | 최대 500만원 |
기부금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상금액 한도는 각 기부금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적용됩니다. 정치자금 기부금과 법정기부금 세액공제 대상 한도금액은 총급여에서 근로소득공제액을 뺀 근로소득금액이 됩니다.
기부금 항목별 세액공제율
기부금 항목 | 세액공제율 |
정치자금 기부금 | -10만원 이하: 100/110 약 90% 세액공제 -10만원 초과 3천만원 이하: 15% -3천만원 초과: 25% |
법정기부금 | -1000만원 이하: 20% -1000만원 초과분: 35% |
우리사주조합 기부금 | |
지정기부금(종교단체 제외) | |
종교단체 지정기부금 | |
고향사랑 기부금 | -10만원 이하: 100% -10만원 초과분: 16.5% |
기부금 항목에서 작년에 많은 인기를 끌었던 항목은 고향사랑 기부금입니다. 10만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를 받으면서 3만원 상당의 기부한 지자체 기념 상품으로 돌려 받기 때문입니다.
기부금 세액공제 제출서류
-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PDF
- 기부금 영수증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기부금 영수증을 제출해야 합니다. 그런데 기부금을 받은 단체나 기관에서는 기부금 자료제출이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따라서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내가 지출한 기부금 내역이 조회되지 않으면 기부한 단체나 기관에 연락해서 영수증을 개인이 챙겨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농협 신년운세 무료토정비결 보는 방법
연말이 되면 해마다 재미삼아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다가올 새해의 신년운세와 토정비결을 보는 것인데요. 웹과 모바일 앱에서 유료와 무료로 운세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오늘은
october-rain.tistory.com
일용직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방법, 비자발적 실업이란?
일용직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방법, 비자발적 실업이란?
목차 일용직 실업급여 조건 우리나라에서 일용직 근로자가 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입 기간: 일용직 근로자는 최근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october-rain.tistory.com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피알 공모주 청약일 주관사 정리 (0) | 2024.02.05 |
---|---|
대중교통 무제한카드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판매처 (0) | 2024.01.24 |
GTX-A 노선 개통 수혜 분양 지역은 어디? (0) | 2023.11.09 |
주말 중고차 대출 가능한곳(카카오뱅크 중고차 구매대출) (0) | 2023.10.26 |
금리 1.5% 정부지원 전세 대출 받는 방법 (0) | 2023.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