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위가 있는데요. 무게단위, 길이단위, 부피단위 등이 대표적입니다. 과학에서 말하는 부피는 정해진 공간에서 한 물체가 차지하는 양을 말합니다. 차원으로 비교해보면 점은 0차원, 길이는 1차원, 면을 뜻하는 넓이는 2차원, 그리고 입체적인 부피는 3차원을 말합니다. 그럼 우리가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부피단위변환 계산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부피단위 표기방법
부피를 다시 쉽게 설명해 보면 넓이와 높이를 가진 입체도형이나 물체가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부피라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물건의 크기가 크면 부피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아이들이 있다면 가로,세로,높이가 1cm인 작은 큐브를 본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 가로*세로*높이가 각각 1cm인 것을 부피의 단위로 표기하면 '1㎤'로 표기하고 '일 세제곱센티미터'라고 읽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가로와 세로 그리고 높이가 각각 1cm인 큐브의 부피는 1㎤가 됩니다. 그리고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m인 큐브의 부피는 '1㎥'라고 쓰고 '일 세제곱미터'라고 읽습니다.
그리고 부피를 표기하는 단위 중에 리터(L)도 있습니다. 1리터(L)는 1,000㎤와 같습니다.
부피계산 방법
그럼 부피는 어떻게 계산할까요? 다음 그림에서 아주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부피는 가로,세로,높이를 곱해서 계산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큐브의 가로(2cm)*세로(4cm)*높이(3cm)를 곱해부면 이 큐브의 부피는 24㎤로 표기하고 '이십사 세제곱센티미터'라고 읽습니다. 그럼 이 24㎤의 큐브를 하나더 위로 쌓았다면 총 부피는 24㎤*2=48㎤가 됩니다. 세제곱미터로 표기되는 부피계산 방법도 위와 동일합니다.
1㎥=1m*1m*1m=100cm*100cm*100cm=1,000,000㎤
일 세제곱미터를 세제곱센티미터로 환산하면 위와 같이 1,000,000㎤가 됩니다.
다음으로 또 다른 부피단위인 리터(L)와 세제곱미터, 세제곱센티미터를 환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부피단위변환 방법
학창시절에 역사시간에 어느 왕의 업적을 얘기할 때 '도량형 통일'을 업적으로 공부한 적이 있습니다. 부피단위도 도량형 중의 하나인데 이처럼 도량형 통일은 왕의 업적으로 얘기할만큼 중요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과거에는 어떤 부피단위들을 사용했을까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부피단위를 세제곱미터 또는 세제곱센티미터, 리터로 환산해보겠습니다. 먼저 다음 검색창에서 '부피단위변환'을 입력해주면 아래와 같이 단위변환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원하는 부피를 각각의 다른 부피 단위로 환산해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왼쪽단위에 현재 단위를 넣고 변환하고자는 단위를 오른쪽에서 찾아서 선택 한 후에 '변환'을 눌러줍니다. 우리가 오래전부터 많이 사용했고 시골의 시장에서 아직도 사용하고 있는 '되, 홉, 말'을 리터로 변환해 보겠습니다.
1홉을 리터로 환산해보면 약 0.18리터정도입니다. 그럼 다음으로 '1 되'를 리터로 환산해보겠습니다.
한 되를 리터로 환산해보면 약 1.8리터가 됩니다. 한 홉이 0.18리터였으니 한 되는 열 홉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지금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한 말'을 리터로 환산해보겠습니다.
한 말은 약 18리터가 됩니다. 우리가 마시는 2리터 생수로 비교해 보면 한말은 2리터 생수 9병고 맞먹는 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부피 단위를 작은것에서부터 순서대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홉(0.18리터)<1되(1.8리터)<1말(18리터)
이상으로 우리가 오래전부터 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부피단위변환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특히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홉, 되, 말을 리터와 비교해서 그 양을 살펴보니 어느정도 양인지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예비군 연차 동원훈련 보상비 예비군 7년차 훈련
예비군 1년~4년차까지 참여해야 하는 동원훈련이 지난해까지는 소집훈련과 원격교육으로 대체했습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정상적으로 동원훈련이 실시된다고 합니다. 예비군 1년~4년차에 해당
october-rain.tistory.com
문화누리카드 잔액조회 재충전 방법
문화누리카드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에게 삶의 질 향상과 문화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지원하는 카드입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의 복권기금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3년 문화누리
october-rain.tistory.com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 조회방법
2022년 소득에 대한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가 1월 15일에 개통되었습니다. 근로소득이 있는 사람들에게 13월의 급여라고 할 정도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요.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일은 언제
october-rain.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월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 대표 음식 오곡밥 (0) | 2023.01.25 |
---|---|
설날특선영화 TV편성표 범죄도시2 보기 (0) | 2023.01.19 |
예비군 연차 동원훈련 보상비 예비군 7년차 훈련 (0) | 2023.01.18 |
여권갱신 온라인 여권 재발급 방법 (0) | 2023.01.17 |
자동차세 연납할인 신청기간 할인율 (0) | 2023.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