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식당이나 급식시설 그리고 카페와 같은 위생시설에서 일을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보건증입니다. 지금은 건강진단결과서로 명칭이 바뀌었는데 짧게는 3개월마다, 길게는 1년마다 의무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오늘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및 다른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란?
얼마전까지 보건증이라고 불렸던 건강진단결과서는 직장이나 또는 해외여행을 할 때 필요로 하는 서류입니다.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이 필요한 대표적인 곳으로는 식품이나 식당 등 요식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건증 발급을 받으면서 전염병 등과 같은 위험에 노출이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받아야 합니다. 특히 유흥업소의 경우에는 3개월마다 검사를 받고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인터넷 발급 방법
보건증을 발급 받는 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과 직접 방문해서 발급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공공보건포털 사이트에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보건관련 정보와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인 지헬스(https://www.g-health.kr/)에서 보건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헬스 사이트에 접속해서 '온라인 제증명 발급 신청하기' 메뉴에서 '건강진단결과서(구 보건증)'을 선택해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에서는 보건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온라인을 통해서 제증명 발급을 신청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에서 발급받을 수 있는 제증명은 건강진단결과서, 건강진단서, 채용신체 검사서 등 총 9종의 제증명을 신청하고 출력할 수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에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받는 절차는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넣고 본인 인증을 합니다. 본인인증 방법은 공동인증서, 아이핀, 디지털원패스, 핸드폰을 이용해서 본인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본인 인증을 하고 보건증을 선택하면 바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에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받기>
G-health
www.g-health.kr
2. 정부24에서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발급 방법
두번째로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인터넷 발급방법은 정부24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정부24는 생활에 필요한 정책이나 민원 서류를 발급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정부 민원사이트입니다. 먼저 정부24 홈페이지(https://www.gov.kr/portal/main)에 접속하고 로그인합니다. 그 다음 검색창에 건강진단결과서 또는 보건증을 입력합니다.
보건소를 방문하고 신청서 작성 및 검사를 하면 판정일까지는 약 5일정도가 소요됩니다. 검사 후 5일이 지난 후부터 정부24에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24 사이트에서 민원 서류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정부24 사이트는 정책 및 보조금 신청 등에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회원가입을 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 방문 발급 방법
인터넷을 이용하기 어려운분들은 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신청도 인터넷으로 신청할 수 있고 보건소에 방문해서 감사를 받으면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검사후 5일 정도 후에 판정결과가 나오니 그 이후에 보건소에 방문해서 보건증을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이 직접 가는 경우에는 신분증을 가져가고 대리인이 발급 받을 때는 위임장, 검사한 사람의 신분증, 대리인의 신분증을 가져가면 대리 발급도 가능합니다.
이상으로 식품, 유흥업 종사자가 보건소에서 건강진단을 실시 후 발급받아야 하는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1년 입니다. 따라서 관련 업종에 종사하는 분들은 만료기간을 확인하고 기간내에 다시 건강진을 받고 보건증을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한도금액
시중은행이나 저축은행 등 제2 금융권에 예금이나 저축을 가입한 사람들은 한번쯤 뱅크런에 대해서 들어봤을것입니다. 뱅크런은 금융기관에 문제가 있을 때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해당은행에
october-rain.tistory.com
2023년 농협 무료운세 보기
2022년이 이제 2주만 남겨놓고 있습니다. 해마다 연말 연초가 되면 궁금해 하는 것이 과연 내년 또는 올해 나의 운세는 어떨까를 재미로 보게됩니다. 운세 앱이나 운세 사이트가 아주 많은데 그
october-rain.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돌봄서비스 소득기준 아이돌보미홈페이지 (0) | 2022.12.27 |
---|---|
2023년 대학입학금 폐지 최저시급 군인월급 인상 (0) | 2022.12.26 |
2023년 농협 무료운세 보기 (0) | 2022.12.15 |
섬망증상 뜻 원인 대처방법 (0) | 2022.12.14 |
2026 월드컵 개최국 48개국 (0) | 2022.1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