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에서는 이미 세금을 납부한 납세자들이 찾아가지 않은 국세 미수령 환급금을 조회하고 찾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보통 5월과 6월에 집중적으로 안내를 하고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국세 환급금 조회방법과 조회기간을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국세청 홈택스에서 국세 환금금 조회하기
국세 미수령 환급금을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는 방법 중 한가지는 국세청 홈택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의 순서대로 조회하고 환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국세청 홈택스 접속 후 납부 고지 환급 메뉴 선택
홈택스에 접속한 후 첫 페이지 상단에 있는 '납부 고지 환급' 메뉴를 선택합니다.
2. 국세 환급금 찾기 메뉴 선택
국세환급 메뉴에서 '국세 환급금찾기' 메뉴를 선택해서 내가 찾아가지 않은 미환급 국세가 있는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3. 주민등록번호(사업자등록번호) 정보 입력
개인이라면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사업자는 사업바등록번호를 하이픈 없이 숫자만 입력합니다. 그리고 성명에는 개인은 이름, 사업자는 상호를 입력하고 조회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환급금 내역확인하기
아쉽게도 개인적으로 찾아가지 않은 국세 환급금은 없다는 조회결과가 나왔습니다.
5. 환급금 상세조회 및 환급계좌개설 신고
국세 환급금 찾기를 통해서 미환급 국세가 있다고 나오며 위의 '환급금 상세조회'에서 정확한 미환급금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 환급받을 계좌개설 신고를 하고 환급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홈택스인 '손택스'에서 국세 환급금을 찾는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는 사람은 손택스를 이용해서도 국세 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손택스 국세 환급금 조회 방법>
- 손택스 앱 접속
- 아이디 또는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 조회/발급 메뉴에서 기타조회 선택
- 환급금 조회 메뉴 선택
- 기본정보 입력 후 환급금 조회
정부24 국세 환급금 조회 방법
홈택스와 손택스를 이용하지 않고 정부24 홈페이지에서도 국세 미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따라하면 간단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정부24 홈페이지 검색창에서 '미환급금 신청' 검색
2. 로그인
미환급금 신청 서비스에서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해당 서비스는 로그인을 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 인증서 등으로 로그인 합니다. 또는 비회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미환급금 조회
로그인을 하고 나면 위와 같은 조회 서비스 페이지가 나옵니다. 여기서는 지방세 환급금, 통신 미환급금 등과 국세 미환급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제 국세 미환급금을 선택하고 '미환급금 조회'를 클릭합니다.
4. 미환급금 조회 결과 확인
역시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국세 미환급금 내역이 없는 것으로 죄회되었습니다.
국세 환급금 조회기간
국세 미환급금 조회기간은 최근 5년간 찾아가지 않은 환급금만 조회됩니다. 환급 결정일로부터 5년 이상이 되었는데도 찾아가지 않은 국세는 국고로 귀속됩니다.
따라서 국고로 귀속되기 전에 미환급 국세가 있는지 조회해보고 미환급을 찾아 가시기 바랍니다. 국세 뿐만 아니라 지방세도 동일하게 조회하고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파킹통장 금리비교 금리 높은곳 가입방법(연 7%)
이번 글에서는 파킹통장 금리비교로 금리 높은곳 상품을 찾고 가입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작년 말부터 떨어지기 시작한 시중은행 예금 및 적금 금리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수준까지 내려왔
october-rain.tistory.com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계산기 계산 방법
이번 글에서는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방법과 신고시 필요서류 에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5월 1일부터 한달동안 종합소득세 신고와 납부기간입니다. 근로소득이 있는 근로소득자에게 연말정
october-rain.tistory.com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신청방법 2024년 1차
경기도에서는 청년의 면접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사업을 시행합니다. 2024년 경기도 청년면접수당 1차 신청방법과 신청자격을 확인
october-rain.tistory.com
'경제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차이 전환 방법 (0) | 2024.05.09 |
---|---|
통합연금포털 사이트에서 퇴직연금 조회 방법 (0) | 2024.05.09 |
파킹통장 금리비교 금리 높은곳 가입방법(연 7%) (0) | 2024.05.08 |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계산기 계산 방법 (0) | 2024.05.07 |
경기도 어린이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신청 방법 (0) | 2024.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