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에서 한국 프로야구에서 독보적인 투수가 되었던 류현진 선수가 2013년 LA다저스로 이적하면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했습니다.
메이저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는 은퇴뒤에 활동기간 일명 '서비스타임'을 채우게 되면 평생동안 메이저리그 연금을 받게 됩니다. 류현진 선수는 메이저리그 연금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타임 10년을 채웠습니다. 그렇다면 류현진 선수가 받을 메이저리그 연금은 얼마나 될까요?
목차
류현진 선수의 메이저리그 연금 액수를 알아보기 전에 먼저 메이저리그 연금 제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메이저리그(MLB) 연금 제도 소개
메이저리그(MLB)는 선수들에게 경력이 끝난 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강력한 연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연금 제도는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경기에 출전하는 기간에 따라 나중에 받을 수 있는 연금 금액이 결정됩니다.
연금 제도의 특징
- 자격 요건: 메이저리그에서 43일 이상 활동한 선수는 연금 수급 자격을 얻게 됩니다. 이 기간은 선수가 메이저리그에서 활동한 기간이 누적되어 계산됩니다.
- 연금 시작 나이: 선수는 만 45세가 되었을 때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다만, 선수가 더 일찍 연금을 받기 시작하고 싶다면, 그만큼 금액이 줄어들게 됩니다.
- 연금 금액: 연금 금액은 메이저리그에서 활동한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최대 금액은 메이저리그에서 10년 이상 활동한 선수가 받을 수 있으며, 이는 연금 제도 하에서 가장 높은 금액입니다.
- 서비스타임: 개막일부터 시즌 종료일까지 부상자 명단을 포함해 로스터에 172일 이상 들어가면 1년으로 인정받습니다.
활동 기간에 따른 연금 금액
메이저리그(MLB) 연금 제도의 구체적인 금액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며, MLB와 선수노조(MLBPA) 간의 협상에 따라 조정됩니다. 그러나 최근 정보에 기반한 대략적인 연금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소 자격 기간 (43일): 메이저리그에서 최소 자격 기간인 43일을 활동한 선수는 연금 자격을 얻게 됩니다. 이 경우, 선수는 만 62세에 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할 경우 연간 약 $9,000 (약 9천 달러) 정도의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년 서비스 타임: 메이저리그에서 1년 동안 활동한 선수는 더 높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의 연금 금액은 만 62세에 연금을 시작할 때 연간 약 $34,000 (약 3만 4천 달러) 정도입니다.
- 10년 서비스 타임: 메이저리그에서 10년 이상 활동한 선수는 연금 제도에서 최대 금액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만 62세에서 연금을 시작할 경우, 선수는 연간 최대 $220,000 (약 22만 달러)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금액들은 만 62세에 연금을 시작할 경우를 기준으로 하며, 조기에 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하는 경우 금액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 45세에 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하는 경우, 연간 연금 수령액은 약 68,000달러가 됩니다.
MLB 연금 제도는 선수들이 은퇴 후에도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제도는 선수들이 메이저리그에서 활동한 기간에 따라 다른 금액을 받도록 하여, 그들의 기여와 서비스 타임을 인정합니다.
단, 위의 금액은 대략적인 수치이며, 실제 금액은 MLB와 MLBPA의 최신 협상 결과 및 연금 계산 방식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류현진 메이저리그 연금액
이제 본격적으로 류현진 선수가 받을 수 있는 메이저리그 연금 금액을 알아보겠습니다. 2013년 메이저리그 LA다저스로 이적한 류현진은 2022년 9월에 메이저리그 서비스타임 10년을 채웠습니다.
서비스타임 10년을 채웠기 때문에 메이저리그 연금 수령 조건 중 최대 금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45세부터 수령시: 매년 약 68,000달러 수령(한화 약 9000만원)
- 62세부터 수령시: 매년 약 22만달러 수령(한화 약 2억 6,600만원)
메이저리그 연금 수령 자격이 되면 45세부터 연금을 신청해서 받을 수 있습니다. 류현진 선수가 45세부터 연금을 받으면 연간 약 9천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62세부터 연금을 받으면 연간 약 2억6,600만원의 메이저리그 연금을 받게 됩니다.
한국 출신으로 메이저리그 서비스타임 10년 이상을 채운 선수는 박찬호(14년 50일), 추신수(13년 119일)가 있습니다. 따라서 박찬호와 추신수도 류현진과 같은 메이저리그 연금을 받게 됩니다.
류현진 메이저리그 연봉
류현진 선수의 메이저리그에서의 연봉은 그가 LA 다저스와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활동하면서 변화해왔습니다. 선수의 연봉은 계약 조건, 성과, 그리고 팀과의 협상 결과에 따라 결정됩니다. 류현진 선수의 연봉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LA 다저스 시절 (2013-2019)
류현진 선수는 2013년에 메이저리그에 데뷔하여 LA 다저스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그의 초반 계약은 6년 동안 총액 36,000,000달러였습니다. 이 계약에는 연평균 약 6,000,000달러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다저스가 지불한 금액은 별도로 25,737,737달러였습니다.
- 2013-2018년: 류현진 선수의 기본 연봉은 계약 기간 동안 대략 연평균 6,000,000달러였습니다. 그러나 연봉 외에도 성과, 로스터 보너스, 인센티브 등이 포함되어 실제 수령액은 다를 수 있습니다.
- 2019년: 2019년에는 류현진 선수가 퀄리파잉 오퍼(QO)를 수락하여 1년 동안 17,900,000달러를 받았습니다. 이는 그의 MLB 경력 중 가장 높은 연봉이었습니다.
토론토 블루제이스 시절 (2020-2023)
류현진 선수는 2020년에 토론토 블루제이스로 이적하며 4년간 총액 80,000,000달러에 해당하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 계약은 연평균 20,000,000달러를 의미합니다.
- 2020-2023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계약은 연평균 20,000,000달러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메이저리그 내에서도 상위권에 속하는 연봉 규모입니다.
박찬호, 추신수, 김병현 메이저리그 연금액
- 박찬호: 약 22만달러(서비스타임 14년 50일)
- 추신수: 약 22만달러(서비스타임 13년 119일)
- 김병현: 약 172,000달러(서비스타임 8년 9일)
- 서재응: 약 75,000달러(서비스타임 3년 121일)
- 오승환: 약 75,000달러(서비스타임 3년 121일)
- 김선우: 약 69,000달러(서비스타임 3년 75일)
- 김현수: 약 43,000달러(서비스타임 2년)
<함께 보면 좋은 글>
류현진 한화 복귀 확정 계약금 연봉은 얼마?
류현진, 한화 이글스로의 화려한 귀환 한화 이글스와 류현진, 새로운 시작의 서막 류현진 선수가 한화 이글스로 돌아온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MHN스포츠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류현진은 21
october-rain.tistory.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급의료포털 e-gen 사이트 바로가기(휴일병원찾기) (0) | 2024.02.22 |
---|---|
생생정보 장사의 신 아귀찜 강화 맛집 위치(1990회) (0) | 2024.02.21 |
류현진 한화 복귀 확정 계약금 연봉은 얼마? (0) | 2024.02.21 |
생생정보 기운찬 여행 안동찜닭 맛집 위치 메뉴 정보(1989회) (0) | 2024.02.20 |
생생정보 우와한식당 해물 곱창 인제 맛집 위치(1989회) (0) | 2024.02.20 |
댓글